광주연구원

전체 4 1/1 page

목차보기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2. 연구의 범위 7
3. 연구의 방법 및 수행절차 10

Ⅱ. 원도심 현황 13
1. 원도심 개념 및 변화 과정 15
2. 주요시설 현황 20
3. 권역 구분 및 특성 36

Ⅲ. 관련 계획 및 사례 41
1. 관련 계획 43
2. 국내외 사례 65

Ⅳ. 원도심 활성화 기본방향 77
1. 비전 및 목표 79
2. 원도심 활성화 핵심 프로젝트 84
3. 복합쇼핑몰 입점 연계 상생 방안 87

Ⅴ. 세부 추진과제 93
1.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대자보 개선 95
2. 원도심~광천권 교통·상권 연계 회랑(corridor) 구축 114
3. 광주천 지속가능한 수변공간 조성 125
4. 특화문화자원의 지속가능한 활성화 체계 구축 139
5. 글로컬브랜딩기반 원도심 상권 대전환 150

Ⅵ. 결론 161
1. 원도심 쇠퇴 현상 163
2. 원도심 활성화 방향 164

참고문헌 167

부록 169

요약보기

광주 원도심은 광주지역 발전의 역사 속에서 전통적인 중심지로 다양한 기능을 담당해왔으나, 인구 감소와 산업구조 변화로 쇠퇴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
연구에서는 광주 원도심의 공간적, 내용적 범위를 설정하고, 주요 이슈 및 특징을 분석하며, 국내외 사례를 참고하여 도시재생 전략을 도출하였다.
주요 활성화 프로젝트로는 보행공간 개선, 교통·상권 연계 강화, 광주천 수변공간 조성, 특화문화자원의 지속가능한 활용, 원도심 상권의 글로컬 브랜딩 등이 포함된다.
도시재생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는 녹지 및 공원 조성, 보행 및 교통 접근성 개선, 전통시장 및 대형 상업시설 간 연계 강화, 문화자원과 상업 공간의 융합 등이 제시되었다.
궁극적으로 원도심 활성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 환경을 조성하고, 지역 정체성을 강화하며, 경제 및 문화적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이다.

목차보기

Ⅰ. 개요 1
1. 왜 2050 미래상인가? 3
2. 목적 및 범위 5
3. 미래상 수립 방향 7
4. 절차와 구성 10

Ⅱ. 광주 진단 11
1. 광주가 걸어온 길 13
1.1. 총론 13
1.2. 부문별 변화 15
2. 광주 현안 분석 26
2.1. 빅데이터 분석 26
2.2. 도시기본계획 검토 30
2.3. 최근 시정 이슈 36
3. 시민 현재 인식 41
3.1. 총론 41
3.2. 부문별 인식 44
3.3. 시사점 49
4. 축적 역량과 내재 문제 51

Ⅲ. 환경 변화와 미래 대응 방향 53
1. 예견된 미래, 불확실한 미래 55
1.1. 사회 55
1.2. 기술 62
1.3. 환경 68
1.4. 경제 75
1.5. 정치 81
2. 시민이 바라보는 광주의 미래 87
2.1. 미래 인식과 미래의 유형 87
2.2. 예상 미래와 선호 미래 89
2.3. 시민대화 소결 및 시사점 99
2.4. 시민 설문조사 105
3. 전문가 미래 인식 122
4. 도시 중장기 미래 전략 사례 124
4.1. 세계도시 미래 비전 124
4.2. 중급도시 미래 전략 133
5. 미래 변화의 주요 동인과 미래 시나리오 145

Ⅳ. 미래상과 전략테마 149
1. 미래상 설정 151
1.1. 비전(미래상) 빌딩 151
1.2. 미래상의 핵심가치와 발전모델 도출 160
1.3. 광주 2050 미래상 체계 165
2. 전략테마 168
2.1. 생명도시 : 아이와 어른 168
2.2. 공동체도시 : 마을과 주거 173
2.3. 지속가능도시 : 안전과 쾌적 183
2.4. 지혜와 기회의 도시 192
2.5. 세계 연결 도시 : 아시아 문화 리더십 도시 198

Ⅴ. 추진체계 203
1. 개요 205
2. 조직 206
3. 제도 208
4. 성과지표 구성 208

참고문헌 213

목차보기

Ⅰ. 연구개요
1.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목적
3. 연구범위

Ⅱ. 대회개요
1. 대회 목표 및 전략
2. 경기개관

Ⅲ. 대회 조직 및 시설
1. 조직 및 인력운영
2. 경기장 시설

Ⅳ. 경기운영
1. 경기운영조직
2. 경기운영 물자·장비
3. 선수 및 심판 임원 행동 계획
4. 경기 진행

Ⅴ. 대회지원
1. 대회 기획
2. 분야별 지원계획
3. 일정계획

Ⅵ. 정책제언: 대회유산의 활용
1. 레거시 전략
2. 관광객 유치 전략
3. 기대효과


목차보기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국내·외 동향 및 전망

Ⅱ. 제22대 총선 공약과제 발굴 기본방향
1.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고찰
2. 제22대 총선 이슈 및 공약과제 발굴 기준

Ⅲ. 광주 여건 분석
1. 시정 운영방향
2. 최근 5년 주요 지표 현황
3. SWOT 분석

Ⅳ. 비전 및 전략
1. 비전 및 목표
2. 전략 및 분야

Ⅴ. 제22대 총선 공약과제
1. 총선 공약 개요
2. 핵심 공약과제
3. 세부 단위사업

참고. 기회발전특구 및 초광역사업 제안